Page 19 -
P. 19

위꼬리가 달린 음봉 → 장중에 매수세력이 상승을 시도했으나 매도세력에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해 좌절되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아래꼬리가 달린 음봉 → 장중에 매수세력의 저항을 받아 추가 하락이 저지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당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.

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. 봉은 작성기간에 따라 일봉, 주봉, 월봉 등으로 나뉩니다.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하나의 봉이 하루 동안의 주가 흐름을 나타낸다면 일봉, 1주일간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의 주가 흐름을 나타낸다면 주봉이라고 합니다. 당연히 월봉은 1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달 동안의 주가 흐름을 나타냅니다. 따라서 단기 주가 흐름을 파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악하는 데는 일봉 차트가 주로 이용되고, 중장기 주가 흐름 파악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에는 주봉과 월봉 차트를 주로 이용합니다. 이외에도 분과 시간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을 단위로 하는 분봉, 시간봉 등도 있다는 걸 알아두세요.








                      잠 깐       봉에 관한 동양과 서양의 차이
                      만 요



                        봉은 양초같이 생겼다고 하여 흔히 캔들(Candle)이라고도 합니다. 봉차트는 1700년경 혼마 무네
                        히사라는 일본인이 선물시장에서 거래되는 쌀가격의 움직임을 파악하기 위해 분석 도구로 활용하
                        기 시작한 것이 시초가 되었습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서양에서는 미국식 바차트를 사용하기도 하는데, 바차트는 시가를 표시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봉차
                        트와 차이가 있습니다. 현재는 바차트보다 봉차트를 더 많이 활용하고 있습니다.
                        봉의 색깔은 동서양이 서로 다릅니다. 우리나라에서는 양봉을 붉은색, 음봉을 청색으로 표시하지
                        만 서양에서는 그 반대로 양봉을 청색, 음봉을 붉은색으로 그립니다. 동서양의 봉 색깔이 다른 것은
                        유래와 관습의 차이일 뿐이므로 특별한 의미를 부여할 필요는 없습니다.







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차트, 이것만 알아도 기본은 한다!   47
   14   15   16   17   18   19